주간인기검색어 ▶
정향풀, 비비추, 말똥비름, 장미, 박태기나무, 은방울꽃, 사과나무, 해바라기,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양뿔사초, 물참대,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털조릿대풀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다년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green
벼과(Poaceae) 115속 (피자식물문/백합강/사초목)
조릿대풀속(Lophatherum) 2종
국명털조릿대풀
학명Lophatherum sinense Rendle
원산지일본, 중국
분포한국
전체크기높이는 60-90㎝
형태
  • 엽신은 길이 12~30cm, 폭 15~30mm, 엽초와의 사이에 짧은 자루가 있다. 12~30cm 15~30mm 엽초는 퍼진 털이 있으며, 절간보다 길다. 엽설은 눈에 띠지 않는다.
  • 화서는 3~6마디에 총(raceme)이 1~3개가 달려 전체모양이 원추형을 이룬다. 화서에는 소수가 조밀하게 배열된다. 소수는 난형~좁은 난형으로 자루가 거의 없고 길이 6~10mm, 최하의 1개의 소화만 임성이며 위쪽 다수의 소화는 불임성으로 호영만 남아 소축의 끝에 모여 있다. 포영은 5맥으로 제1포영은 길이 3mm, 제2포영은 길이 5mm이다. 임성소화의 호영은 길이 6mm내외, 7맥, 끝에 길이 1~2mm의 돌기가 있으며 불임성소화의 호영은 끝에 굵은 까락이 있고 까락에는 아래를 향한 자모가 있다. 임성소화의 내영은 호영과 거의 같은 길이이다.
  • 영과
  • 줄기는 다수 총생하며 높이 60~90cm, 4~6마디가 있다. 60~90cm
  • 근경은 목질이다.
서식지숲 속에 자란다.
개요산지 숲속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는 나무처럼 딱딱하고, 여러 개의 줄기가 모여나며, 높이는 60~90cm이고, 마디는 4~6개이다. 잎집은 털이 있고, 잎몸은 길이 12~30cm이고, 너비 1.5~3.0cm이다. 잎혀는 극히 짧다. 꽃은 9월에 핀다. 전체 꽃차례에는 각 마디에 1~3개의 긴 가지가 달리고, 작은이삭은 조밀하게 달린다. 작은이삭은 난형으로 길이 6~10mm이고, 꽃이 5~7개 들어 있지만, 가장 아래의 꽃만 임성이다. 두 포영은 5맥이 있고, 제1포영은 3mm, 제2포영은 5mm이다. 호영은 5~7mm이고, 끝에 짧은 돌기가 있다.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비슷하다. 불염성 꽃의 호영에는 까락이 있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잎이 조릿대의 것과 닮았고, 땅속줄기와 줄기가 단단한 것이 특징이다. 조릿대풀은 전체 꽃차례에서 갈라진 가지에 작은이삭이 성글게 달리는데, 털조릿대풀은 촘촘히 달리므로 구별된다. 개그늘새, 개조릿대풀, 너도조릿대풀이라고도 부른다.
동정키조릿대풀(L. gracile)에 비해 소수는 난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 대개 납작하며 제1소화의 호영은 넓은 난형이고, 측면에서 볼 때 등 쪽으로 부풀어 오른다. 화서 가지에 소수는 간격 없이 촘촘히 붙는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털잡이제비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guicula villosa   통발과   벌레잡이속   1,333
털조릿대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ophatherum sinense   벼과   조릿대풀속   986
털족제비싸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morpha canescens   콩과   족제비싸리속   1,504
털좁쌀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uphrasia retroticha   현삼과   산좁쌀풀속   1,032
털종비나무 Picea koraiensis var. tonaiensis   소나무과   가문비나무속   1,457
털쥐깨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osla dianthera var. nana   꿀풀과   쥐깨풀속   1,503
털찔레 Rosa multiflora var. adenochaeta   장미과   장미속   1,489
털참범꼬리 Bistorta pacifica for. velutina   마디풀과   범꼬리속   1,286
털초피나무 Zanthoxylum piperitum for. pubescens   운향과   산초나무속   1,460
털큰산버들 Salix sericeocinerea f. lanata   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1,180
털큰앵초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rimula jesoana var. pubescens   앵초과   앵초속   1,448
털톱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hillea setacea   국화과   톱풀속   1,387
털파리채 Lespedeza juncea var. umbrosa   콩과   싸리속   1,227
털하늘지기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Fimbristylis dichotoma f. tomentosa   사초과   하늘지기속   1,021
털화살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Euonymus alatus f. pilosus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   1,788
털황벽 Phellodendron amurense for. molle   운향과   황벽나무속   1,339
털황철나무 Populus maximowiczii var. barbinervis   버드나무과   사시나무속   1,302
평강노간주 Juniperus rigida var. modesta   측백나무과   향나무속   1,581
평안피나무 Tilia amurensis var. grosseserrata   피나무과   피나무속   1,503
평양대극 Euphorbia barbellata var. imaii   대극과   대극속   1,423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