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박태기나무, 은방울꽃, 사과나무, 해바라기,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물참대, 벌노랑이, 층층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끈끈이장구채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끈끈이장구채(Silene koreana Kom.) : 무심거사

    무심거사

  • 한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 취산화서,
석죽과(Caryophyllaceae) 21속 (피자식물문/목련강/석죽목)
장구채속(Silene) 23종
국명끈끈이장구채(희귀멸종위기 식물 : CR 멸종위기종)
학명Silene koreana Kom.
원산지한국
분포중국 / 한국(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양구군, 인제군, 춘천시, 홍천군, 화천군)
전체크기높이 90cm
형태
  • 잎은 마주나기하며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서 양끝이 좁고 위로 갈수록 작아지며 잎겨드랑이에 잎이 밀생한 짧은 가지가 있다.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의 취산꽃차례에 달리고 전체가 원뿔모양으로 되며 꽃자루는 길이 1.5-2cm로서 털이 없고 선점(腺點)이 있으며 가늘다. 꽃받침은 원통형이고 길이 1cm정도로서 10맥이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5장이며 끝이 2개로 갈라지고 밑에 조부(爪部)가 있다. 수술은 10개, 암술대 3개이다.
  • 삭과는 넓은 달걀모양으로서 끝이 6개로 갈라지고 꽃받침통 밖으로 3mm정도 나온다. 종자는 콩팥모양에 가까우며 방사상으로 배열된 돌기가 있다.
  • 모여나기하고 높이가 90cm에 달하며 짧은 털이 있고 상부의 마디사이에 선점(腺)點이 있어 끈적끈적하다.
서식지산지나 들에서 자란다.
개요산지에 나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모여나며 곧추서고, 높이 90cm에 이른다. 잎은 마주나며 피침형 또는 선형이다. 양 잎끝은 좁고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잎겨드랑이에 잎이 밀생하는 짧은 가지가 있다. 가지 윗부분의 마디 사이와 작은 꽃자루에 샘점과 짧은 털이 있어 끈적끈적하다. 꽃은 7~8월경에 피는데 흰색이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려 전체가 원추형을 이룬다. 열매는 삭과로 넓은 난형이고 끝이 6개로 갈라지며 종자는 홍갈색, 작은 돌기가 있다. 이 종은 줄기가 매끄럽고 꽃자루와 꽃받침에서 끈끈한 점액을 분비하므로 오랑캐장구채와 구별된다. 한반도 중부 이북에 나며 중국 만주,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등에 분포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근연종* ▶끈끈이대나물(S. armeria L.): 전체가 분을 뒤집어쓴 것같이 흰빛이 나고, 털이 없다. 잎은 달걀모양, 넓은 피침형, 길이 3-4.5㎝, 잎자루는 없다.
▶울릉대나물(S. foliosa Maxim.): 줄기는 밀생, 잎은 선상 피침형, 길이 3-5㎝, 보통 털이 없다.
▶층층장구채(S. macrostyla Maxim.): 잎은 피침형, 피침상 선형, 잎겨드랑이에 잎이 밀생한 짧은 가지가 나온다.
▶오랑캐장구채(S. repens Person):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전체에 잔털이 퍼져 있다. 잎은 피침형, 긴 타원상 피침형, 길이 3-5㎜이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댓글 4

  • Profile 무심거사 2010.08.09 14:07:18 촬영일시 : 20100809 강원 인제군 원대리

    끈끈이장구채(Silene koreana Kom.) : 무심거사

  • 곰배령 2015.08.30 14:49:14 촬영일시 : 20150822 강원 홍천군 도사곡리

    끈끈이장구채(Silene koreana Kom.) : 무심거사 끈끈이장구채(Silene koreana Kom.) : 무심거사 끈끈이장구채(Silene koreana Kom.) : 무심거사

  • Profile 바지랑대 2016.10.24 10:43:35 촬영일시 : 20161022 강원 인제군 원대리

    끈끈이장구채(Silene koreana Kom.) : 무심거사

  • Profile 설뫼* 2016.10.24 11:20:43 촬영일시 : 20161022 강원 인제군 원대리무심방

    끈끈이장구채(Silene koreana Kom.) : 무심거사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2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오랑캐장구채 [3/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repens   석죽과   장구채속   2,538
가는장구채 [4/3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seoulensis   석죽과   장구채속   4,155
털장구채 [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firma f. pubescens   석죽과   장구채속   1,599
달맞이장구채 [6/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latifolia subsp. alba   석죽과   장구채속   2,986
자주덩굴별꽃 [4/1] 국가표준식물목록 Silene baccifera var. japonicus   석죽과   장구채속   1,940
덩굴별꽃 [6/4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baccifera   석죽과   장구채속   3,676
갯장구채 [3/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aprica var. oldhamiana   석죽과   장구채속   4,679
울릉장구채 [4/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takeshimensis   석죽과   장구채속   3,634
분홍장구채 [8/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capitata   석죽과   장구채속   4,058
염주장구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conoidea   석죽과   장구채속   169
끈끈이대나물 [3/5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armeria   석죽과   장구채속   5,713
양장구채 [3/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gallica   석죽과   장구채속   3,782
장구채 [6/3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firma   석죽과   장구채속   4,464
흰장구채 [1/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oliganthella   석죽과   장구채속   2,305
애기장구채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aprica   석죽과   장구채속   2,108
가는다리장구채 [6/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jeniseensis   석죽과   장구채속   4,095
끈끈이장구채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koreana   석죽과   장구채속   2,566
말냉이장구채 [2/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noctiflora   석죽과   장구채속   2,682
가는끈끈이장구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antirrhina   석죽과   장구채속   1,175
명천장구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myongcheonensis   석죽과   장구채속   1,855

  • 1
  • 2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