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융단사초,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밤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밤나무(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 은하수EXIF Viewer카메라제조사OLYMPUS OPTICAL CO.,LTD카메라모델명C5050Z소프트웨어andoWKS촬영일자0000:00:00 00:00:00감도(ISO)64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2000조리개 값f/4.0촛점거리119/10조리개 최대개방20/10노출보정0/10플래쉬unkown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800 X 600

    은하수

  • 밤나무(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 habal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카메라모델명E570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7.0촬영일자2005:08:28 09:54:34감도(ISO)100촬영모드Manual노출모드Manual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2500조리개 값f/3.9촛점거리377/10조리개 최대개방30/10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35mm 환산148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707 X 800원본사진 크기848 X 960

    habal

  • 밤나무(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 현촌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 Techwin 카메라모델명U-CA 3 Digital Camera 소프트웨어Version 1.0 촬영일자2005:06:23 07:07:41감도(ISO)100촬영모드셔터스피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250조리개 값f/2.8조리개 최대개방28/10노출보정4/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0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1024 X 768

    현촌

  • 낙엽 활엽 교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참나무과(Fagaceae) 5속 (피자식물문/목련강/참나무목)
밤나무속(Castanea) 2종
국명밤나무
학명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별명알밤, 밤, 밤송이, 밤송아리, 밤낭(제주), 올배밤나무(전남 화순)
원산지한국
분포▶전국적으로 자란다. ▶섭씨 12도의 등온선을 중심으로 하여 난대중부에서 온대 북부 이외에 남미, 호주 등지에 분포하고, 일본과 만주에도 분포한다.▶세계의 주요 생산지는 한국, 일본, 중국, 북미, 유럽, 중동아시아, 이태리,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칼, 그리이스이다. ▶전국의 표고 100~1,100m에서 자란다. ▶부여, 공주 등 충남지역과 하동, 산청, 광양, 순창, 임실 등 남부지역에서 많이 재배된다.
전체크기높이 15m, 지름 1m.
형태
  • 잎은 어긋나기이며 측지에서는 2줄로 배열되고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길이는 10~20cm로서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고 17~25쌍의 측맥이 비스듬히 평행하게 달리며 측맥 끝이 침형이고 표면은 털이 없거나 맥 위에 털이 있으며 선점(腺點)이 밀포한다. 잎자루는 길이 1~1.5cm로서 털이 있고 턱잎이 있다.
  •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백색이며 6월에 피고 새가지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곧추 자라는 꼬리모양꽃차례에 많이 달린다. 수꽃차례는 유백색이고 암꽃은 보통 3개씩 한군데에 모여달리고 포로 싸인다.
  • 겉열매껍질에 가시가 있고, 내피 잘 벗겨지지 않으며 견과는, 3개 또는 1개식 들어 있으며 지름이 2.5 ~ 4cm이고, 좌가 밑부분을 전부 차지하며, 부분에 백색 털이 있으며 다갈색으로 익는다. 9 ~ 10월에 성숙하고, 익으면 벌어진다.
  • 높이 15m, 지름 1m로서 나무껍질이 암갈색 또는 암회색이며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일년생가지는 자줏빛이 도는 적갈색으로서 단모 또는 성모가 있으나 없어진다.
서식지연평균 기온 10~14℃의 기온대가 적당하며 늦가을이나 이른봄에 서리의 피해를 받기 쉽다. 겨울동안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인해서 뿌리에 가까운 줄기가 동해 피해를 받기 쉽다. 여름에는 강우가 비교적 많아도 무방하다. 일조량이 부족한 상태에서는 정상적인 생장과 결실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토심이 깊고 비옥한 산록이나 배수가 잘되는 곳을 좋아하는 양수로 내조성과 내건성이 약하지만 대기오염에 견디는 힘은 보통이다.
개요낙엽활엽 큰키나무로 줄기는 높이 30m에 이른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10-20cm, 너비 3-5cm이다. 꽃은 5-6월에 암수한그루로 핀다. 수꽃은 새 가지에서 길이 10-15cm의 꽃차례에 달린다. 암꽃은 수꽃의 아래쪽에 3개씩 모여 달린다. 열매는 가시처럼 생긴 껍질로 완전히 감싸여 있다가 껍질이 벌어지면서 드러난다. 열매를 식용 및 약용하고, 꽃은 약용 또는 염료로 이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참나무목 참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해가 잘 비추는 산기슭이나 낮은 지대에서 높이 30m, 지름 2m 정도로 곧추서서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이다. 나무껍질은 암갈색 또는 암회색이고, 어린가지는 자줏빛이 도는 적갈색이며, 털이 있다가 자라면서 없어진다. 잎은 서로 엇갈려 달리는데, 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10~20cm, 너비 3~5cm이며, 잎끝은 뾰족하고, 잎 아래는 둥그렇다. 잎 가장자리에는 파도 모양의 톱니가 있고, 측맥은 17~25쌍이며, 맥 위에는 털이 있고, 투명한 점들이 빽빽하게 나 있다. 꽃은 암꽃과 수꽃이 한 개체에서 5월에 서로 다른 꽃차례에 무리 지어 피는데, 수꽃은 새롭게 만들어진 가지의 잎이 달린 자리에서 길이 10~15cm 정도인 꽃차례에 달린다. 암꽃은 수꽃의 아래쪽에 3개씩 모여 달린다. 열매는 견과, 가시처럼 생긴 껍질로 완전히 감싸여 있다가, 껍질이 벌어지면서 드러난다. 9~10월에 익는다. 약밤나무는 잎 뒷면에 투명한 점이 없고, 어린가지에는 털이 있어 밤나무와 구분된다. 밀원용으로 심으며, 목재는 건축재, 가구재, 기구재, 조각재로 이용한다. 열매는 식용 및 약용하고, 꽃은 약용 또는 염료로 이용한다. 참밤나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평안남도와 함경남도 이남에 자생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재배한다. 세계적으로 일본,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근연종* ▶약밤나무(C. bungeana): 밤나무에 비해 잎이 더 크고 거치는 더 깊으며 일년생가지는 털이 있고 과실은 소형으로서 저면은 좁고 속알은 약간 경미가 있다. 함종율,평양율이라고 하며 중부 이북에 분포하나 남부지방에서도 식재하고 있다.
▶밤나무에는 재배품종이 많다: 국내 선발종으로는 산대,광주올밤,중흥밤,옥광밤,산성밤등이 있다. 도입종으로는 풍다마조생,삼조삼,단택,이취,축파,유마,은기등이 있다.
동정키▶맹아력이 좋고 수세가 강건하다.
▶변재는 좁고, 암회백색, 심재는 담갈색으로 심, 변재의 구분이 분명하고 나이테 또한 뚜렷하다. 환공재로 딱딱하고 나무갗은 거칠며 무거우며 내구성이 크고 할열이 용이하며 절삭, 가공, 접착, 도장, 건조성은 보통이며 약제주입성은 매우 불량하다. 타닌함량이 대단히 많고 습기에는 강하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댓글 51

  • Profile 도리뫼 2022.06.18 09:01:44 촬영일시 : 20220618 경기 양평군 두물머리

    밤나무(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 현촌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D Mark II소프트웨어Windows Photo Editor 10.0.10011.16384촬영일자2022:06:18 13:48:23감도(ISO)200촬영모드Manual노출모드Manual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60조리개 값f/7.1촛점거리84/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200 X 800원본사진 크기6240 X 4160

    밤나무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42

식물이름 학명 조회
종가시나무 [2/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glauca   참나무과   참나무속   5,933
민종가시나무 Quercus glauca var. nudata   참나무과   참나무속   1,380
봉동참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 pongtungensis   참나무과   참나무속   1,410
참가시나무 [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salicina   참나무과   참나무속   2,304
졸가시나무 [2/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phillyraeoides   참나무과   참나무속   3,354
붉가시나무 [1/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acuta   참나무과   참나무속   4,009
개가시나무 [8/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gilva   참나무과   참나무속   2,876
구실잣밤나무 [2/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stanopsis sieboldii   참나무과   모밀잣밤나무속   3,209
졸참나무 [3/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serrata   참나무과   참나무속   3,372
밤나무 [3/5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stanea crenata   참나무과   밤나무속   4,146
신갈나무 [2/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mongolica   참나무과   참나무속   4,309
루브라참나무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rubra   참나무과   참나무속   62
대왕참나무 [2/10]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palustris   참나무과   참나무속   179
돌참나무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ithocarpus edulis   참나무과   돌참나무속   79
떡갈나무 [5/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dentata   참나무과   참나무속   3,524
상수리나무 [4/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acutissima   참나무과   참나무속   3,927
굴참나무 [3/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variabilis   참나무과   참나무속   4,165
갈참나무 [4/3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aliena   참나무과   참나무속   4,121
모밀잣밤나무 [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stanopsis cuspidata   참나무과   모밀잣밤나무속   2,836
정능참나무 [0/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acutissima   참나무과   참나무속   1,92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