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토끼풀,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오랑캐장구채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벼루

    벼루

  •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필릴리

  •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필릴리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red
  • 취산화서,
석죽과(Caryophyllaceae) 21속 (피자식물문/목련강/석죽목)
장구채속(Silene) 23종
국명오랑캐장구채
학명Silene repens Patrin
별명가지대나물
원산지한국
분포한국, 중국, 시베리아, 유럽에 분포한다.
중부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전체크기높이가 10-60cm정도에 이른다.
형태
  •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3-5cm, 폭 3-8mm로서 양끝이 좁으며 털이 없거나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 꽃은 6-7월에 피고 백홍색이며 취산꽃차례는 원줄기 끝에 달리고 꽃자루는 극히 짧으며 털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통형(筒形)으로서 길이 12-15mm이며 연모(軟毛)가 있다. 꽃잎의 판연은 길이 6-7mm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지며 백색 또는 연한 홍색이고 수술은 10개이며 꽃받침통에서 약간 밖으로 나온다.
  • 삭과는 달걀모양(卵形)이며 길이 7mm로서 6개로 갈라지며 꽃받침이 숙존하고 대는 길이 6mm이다.
  • 높이 10-60cm이고 밑에서부터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밑을 향한 밀모가 있다.
서식지고산 지대의 초원에서 자란다.
개요높은 산 개울가, 자갈밭, 모래땅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전체에 짧은 털이 있다. 뿌리줄기는 가늘고 길게 뻗는다. 줄기는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50cm이다. 잎은 마주나며 피침형으로 길이 2~6cm, 폭 2~7mm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은 6~8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 취산꽃차례를 이루어 달리며 흰색이다. 꽃자루는 매우 짧고 겉에 털이 많다. 꽃받침은 통 모양으로 길이 10~15mm이며 붉은빛을 띠고 겉에 연한 털이 있다. 꽃잎은 5장이며 끝이 2갈래로 갈라지고 꽃받침보다 2배쯤 길다. 수술은 10개이며 꽃받침통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난형의 삭과이며 끝이 6갈래로 갈라진다. 한반도 함경북도, 함경남도, 평안북도 등에 자생하며,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북아메리카 서북부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끈끈이장구채에 비해 꽃자루와 꽃받침에서 점액을 분비하지 않으며 줄기에 융털이 있으므로 다르다. 꽃, 줄기, 잎을 약용한다.
근연종* ▶끈끈이대나물(S. armeria L.): 전체가 분을 뒤집어쓴 것같이 흰빛이 나고, 털이 없다. 잎은 달걀모양, 넓은 피침형, 길이 3-4.5㎝, 잎자루는 없다.
▶울릉대나물(S. foliosa Maxim.): 줄기는 밀생, 잎은 선상 피침형, 길이 3-5㎝, 보통 털이 없다.
▶층층장구채(S. macrostyla Maxim.): 잎은 피침형, 피침상 선형, 잎겨드랑이에 잎이 밀생한 짧은 가지가 나온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댓글 19

  • 벼루 2006.02.23 23:43:36 촬영일시 : 2003. 7 백두산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 Profile 필릴리 2006.02.27 15:58:02 촬영일시 : 2005.7 백두산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 Profile 필릴리 2006.02.27 15:59:26 촬영일시 : 2005.7 백두산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 별꽃 2006.08.31 20:24:01 촬영일시 : 2007.7.20 백두산 서파 트래킹중에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 통통배 2006.10.31 16:29:01 촬영일시 : 2006.7 백두산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 통통배 2006.10.31 16:29:22 촬영일시 : 2006.7 백두산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 河志 2007.04.21 21:18:49 촬영일시 : 2007, 4,20. 아침고요수목원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 Profile 추풍 2007.07.01 20:41:36 촬영일시 : 2007.6.29 물향기수목원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 그리운 2007.12.17 18:53:33 촬영일시 : 2007. 6. 11. 강원 평창군 한국자생식물원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 그리운 2007.12.17 18:54:16 촬영일시 : 2007. 6. 11. 강원 평창군 한국자생식물원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 Profile 추풍 2009.09.18 14:20:46 촬영일시 : 2009.9.17 경기 오산시 물향기수목원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 Profile 추풍 2009.09.18 14:21:28 촬영일시 : 2009.9.17 경기 오산시 물향기수목원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 Profile 무심거사 2011.07.19 00:03:04 촬영일시 : 20110715 해외 중국 백두산(소천지)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 Profile 바지랑대 2012.05.23 09:19:43 촬영일시 : 20120521 경기 포천시 평강식물원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 곰배령 2012.09.18 22:39:25 촬영일시 : 20110622 강원 평창군 한국자생식물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 Profile 설뫼* 2016.06.03 07:46:57 촬영일시 : 20160525 강원 인제군 자원식물원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 Profile 설뫼* 2016.08.12 18:11:29 촬영일시 : 20160730 해외 중국 백두산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 산들꽃 2021.05.20 18:35:36 촬영일시 : 20210519 경북 포항시 북구 기계면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 고들빼기 2024.05.27 19:48:31 촬영일시 : 20240525 강원 양구군 dmz 자생식물원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 필릴리

    오랑캐장구채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13

식물이름 학명 조회
벼룩나물 [2/4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tellaria alsine   석죽과   별꽃속   4,342
갯장구채 [3/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aprica var. oldhamiana   석죽과   장구채속   4,679
다북개미자리 [0/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cleranthus annuus   석죽과   다북개미자리속   2,108
울릉장구채 [4/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takeshimensis   석죽과   장구채속   3,634
분홍장구채 [8/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capitata   석죽과   장구채속   4,058
가는대나물 [6/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ypsophila pacifica   석죽과   대나물속   4,105
꽃술패랭이꽃 [0/5]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anthus superbus var. superbus   석죽과   패랭이꽃속   3,000
흰동자꽃 [0/6] Lychnis cognata for. albiflora   석죽과   동자꽃속   1,982
제비동자꽃 [3/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ychnis wilfordii   석죽과   동자꽃속   4,782
왕별꽃 [2/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tellaria radians   석죽과   별꽃속   1,746
갯개미자리 [2/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pergularia marina   석죽과   갯개미자리속   4,755
털동자꽃 [1/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ychnis fulgens   석죽과   동자꽃속   2,594
긴개별꽃 [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seudostellaria japonica   석죽과   개별꽃속   2,060
초록별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tellaria neglecta   석죽과   별꽃속   168
염주장구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conoidea   석죽과   장구채속   169
가거개별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seudostellaria palibiniana var. gageodoensis   석죽과   개별꽃속   160
섬점나도나물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erastium fontanum subsp. hallaisanense   석죽과   점나도나물속   115
백두산점나도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erastium baischanense   석죽과   점나도나물속   123
숲개별꽃 [4/2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seudostellaria setulosa   석죽과   개별꽃속   3,863
유럽개미자리 [4/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pergularia rubra   석죽과   갯개미자리속   2,777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