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토끼풀,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참당귀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카르마

    카르마

  •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카르마

    카르마

  •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河志

    河志

  •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지노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Violet
  • 산형화서,
산형과(Apiaceae) 45속 (피자식물문/목련강/미나리목)   ---->미나리과(Apiaceae)
당귀속(Angelica) 18종
국명참당귀
대표국명당귀
학명Angelica gigas Nakai
별명승검초, 승엄초, 신감채, 당귀, 산당귀(영남)
원산지한국
분포▶만주, 일본에 분포한다.
▶남부, 중부, 북부의 산계곡 습기가 있는 토양에서 자생하며 약용식물로 재배하고 있다.
전체크기높이가 1-2m정도에 이른다.
형태
  • 근생엽과 기부의 잎은 엽병이 길며, 기수 1-3회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3개로 완전히 갈라지고 다시 2-3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긴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고 겹톱니가 있으며 정소엽은 엽신이 흐르지 않기 때문에 작은잎자루가 있고 표면의 맥위와 가장자리가 거칠며 윗부분의 잎은 퇴화되고 엽초가 타원형으로 커진다. 엽병의 기부는 칼집처럼 되어 기부를 감싼다.
  • 8-9월에 큰 겹우산모양꽃차례가 가지와 줄기끝에서 발달하며 15-20개로 갈라지고 끝에 20-40개의 자주색 꽃이 달린다. 총포는 1-2개로서 엽초처럼 커지며 소총포는 5-7개이고 가늘다.
  • 열매는 타원형이고 길이 8mm, 폭이 5mm로서 넓은 날개가 있으며 늑(肋)사이에 유관이 1개씩 있다. 분과
  • 높이 1-2m이며 직립하고 자줏빛이 돌며, 세로맥이 있다.
  • 굵은 뿌리와 함께 분지된 뿌리가 있다.
서식지▶산골짝 냇가 근처에서 자란다.
▶당귀는 전국적으로 재배가능하나 중부 이북지역의 서늘한 고산지역이 유리하고, 일당귀는 따뜻한 중·남부지방에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토질은 표토가 깊고 배수가 잘 되는 부드러운 식질양토 또는 사질양토가 좋다. 충분히 관수 관리한다. 환경내성과 이식성은 보통이다. 충분한 광선을 요하며, 노지에서 월동하고 16-30℃에서 잘 자란다. 점질토에서는 뿌리의 발육이 좋지 않으며 모래땅에서는 잔뿌리가 많이 생겨 우량품을 생산할 수 없다. 이 작물은 연작을 싫어하므로 한번 심어서 수확한 곳에는 2-3년동안 다른 작물을 심는 것이 좋다.
개요키가 큰 것이 결점이나, 쓰러지지는 않는다.
엽병을 생으로 까서 먹고 한참 있다가 물을 마시면 물맛이 달다.
근연종* ▶흰꽃바디나물(for. albiflora Max.): 백색 꽃이 핀다.
▶개구릿대(A. anomala Lallemant): 줄기는 속이 비고, 털이 없으며 흔히 자줏빛이다.
▶흰바디나물(var. distans Kitagawa): 처녀바디와 비슷하나, 잎의 첫번 갈래가 바로 엽초에 달리는 것이 다르다.
▶제주사약채(A. fallax Boissieu):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에서 나며, 꽃은 처음에 칼집같이 생긴 잎 모양의 총포에 싸인다.
▶갯강활(A. japonica A. Gray): 줄기 속에 황백색의 수액이 있고, 겉에 암자색의 줄이 있다.
▶궁궁이(A. polymorpha Maxim.): 엽초에만 털이 있고, 잎은 끝이 뾰족하며 결각 모양의 톱니, 잎자루는 흰색이고, 긴 타원형의 엽초가 발달했다.
동정키키가 큰 것이 결점이나, 쓰러지지는 않는다.
엽병을 생으로 까서 먹고 한참 있다가 물을 마시면 물맛이 달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댓글 62

  • Profile 추풍 2013.12.05 16:45:16 촬영일시 : 20130907 경기 포천시 평강식물원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 Profile 설뫼* 2015.05.21 18:45:31 촬영일시 : 20150514 강원 인제군 설악산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 정원공주 2015.07.22 18:14:29 촬영일시 : 20150521 강원 원주시 호저면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 Profile 도리뫼 2015.08.23 19:47:23 촬영일시 : 20150822 경기 가평군 화악산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 박용석nerd 2015.09.30 02:06:20 촬영일시 : 20140522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 꽃사랑 2016.08.02 03:22:54 촬영일시 : 20160730 경기 광주시 하중동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 Profile 설뫼* 2016.08.14 19:40:26 촬영일시 : 20160731 해외 중국 길림시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노예령풍경구

  • Profile 필릴리 2017.09.03 14:52:53 촬영일시 : 20170830 강원 인제군 원대리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 곰배령 2018.05.15 12:21:08 촬영일시 : 20180513 경기 여주군 황학산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 곰배령 2018.08.23 13:12:26 촬영일시 : 20180807 해외 중국 백두산야생화탐사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 Profile 晴嵐 2021.08.12 09:24:14 촬영일시 : 20210811 경기 선택 화악산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참당귀

  • 산들꽃 2023.08.14 10:22:35 촬영일시 : 20230813 경북 군위군 하늘정원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지노

    참당귀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8

식물이름 학명 조회
강활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reflexa   산형과   당귀속   3,732
참당귀 [4/6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gigas   산형과   당귀속   4,595
두메당근 국가표준식물목록 Angelica florenti   산형과   당귀속   2,091
부전바디 [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nakaiana   산형과   당귀속   1,893
고산바디 국가표준식물목록 Angelica saxatilis   산형과   당귀속   1,299
왜천궁 [3/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genuflexa   산형과   당귀속   2,109
바디나물 [5/4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decursiva   산형과   당귀속   4,909
처녀바디 [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cartilaginomarginata   산형과   당귀속   2,867
궁궁이 [2/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polymorpha   산형과   당귀속   4,133
고본 [3/3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tenuissima   산형과   당귀속   4,301
구릿대 [3/3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dahurica   산형과   당귀속   3,967
잔잎바디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czernaevia   산형과   당귀속   1,647
개구릿대 [4/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anomala   산형과   당귀속   5,465
갯강활 [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japonica   산형과   당귀속   3,171
왜당귀 [4/3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acutiloba   산형과   당귀속   3,529
지리강활 [2/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amurensis   산형과   당귀속   5,209
흰바디나물 [2/10] 국가표준식물목록 Angelica cartilaginomarginata var. distans   산형과   당귀속   2,658
삼수구릿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jaluana   산형과   당귀속   1,830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