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박태기나무, 은방울꽃, 사과나무, 해바라기,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물참대, 벌노랑이, 층층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회양목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회양목(Buxus sinica (Rehder & E.H.Wilson) M.Cheng var. insularis (Nakai) M.Cheng) : 현촌

    현촌

  • 회양목(Buxus sinica (Rehder & E.H.Wilson) M.Cheng var. insularis (Nakai) M.Cheng) : 벼루

    벼루

  • 회양목(Buxus sinica (Rehder & E.H.Wilson) M.Cheng var. insularis (Nakai) M.Cheng) : 塞翁之馬

    塞翁之馬

  • 회양목(Buxus sinica (Rehder & E.H.Wilson) M.Cheng var. insularis (Nakai) M.Cheng) : 통통배

    통통배

  • 회양목(Buxus sinica (Rehder & E.H.Wilson) M.Cheng var. insularis (Nakai) M.Cheng) : 무심거사

    무심거사

  • 상록 활엽 관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yellow
회양목과(Buxaceae) 2속 (피자식물문/목련강/대극목)
회양목속(Buxus) 3종
국명회양목
학명Buxus sinica (Rehder & E.H.Wilson) M.Cheng var. insularis (Nakai) M.Cheng
별명도장나무, 고양나무, 도장낭, 화양목(제주)
원산지한국
분포일본 / 평안남도 및 함경남도 이남 전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남해 도서 지역에 분포. 석회암지대.
전체크기높이 7m.
형태
  • 잎은 두껍고 타원형이며 길이 12 ~ 17mm로, 표면은 주맥 하반부에 털이 있고, 뒷면 가장자리가 뒤로 젖혀지며, 잎자루 길이 2mm로, 털이 있다.
  • 꽃은 암수한그루로 3 ~ 4월에 개화하며 연한 황색으로 암수꽃이 몇 개씩 한 군데에 달리고 중앙부에 암꽃이 있고, 수꽃은 1 ~ 4개의 수술이 있으며, 수술대 길이는 5mm로 흰빛이 돌고, 꽃밥은 노란색이며 암꽃은 3개의 암술머리가 있는 삼각형의 씨방이 있다.
  • 열매는 삭과로 달걀형이며, 길이 10mm로 털이 없으며 갈색으로 9월 초~10월 말에 성숙한다.
  • 일년생가지는 녹색으로 네모지고 털이 있다.
  • 실뿌리가 사방으로 퍼져 서로 엉킨다.
서식지주로 석회암지대
개요산지 석회암지대에서 자라는 상록 활엽 떨기나무이다. 잎은 좁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뒷면에 털이 나 있다. 잎의 길이는 12~22mm, 폭은 4~11mm이다. 꽃은 단성화, 자웅이주로 4월에 옅은 노란색의 작은 꽃이 핀다. 열매는 공 모양의 삭과로 7~8월에 익는다. 경기도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회양목에 비해 잎이 가늘고 길다. 회양목 자생지에서 함께 자라는 흔한 잎의 변이로 보는 견해가 있다. 관상용 정원수로 심는다. 줄기는 도장재, 조각재 등으로 쓰이며, 잎이 달린 가지는 약용한다.대극목 회양목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석회암지대의 양지바른 바위틈에서 자라는 상록 떨기나무로 줄기는 높이 1~7m이다. 잎은 마주나며, 가죽질, 타원형, 길이 1.5~2.0cm, 폭 0.7~1.0cm, 끝이 오목하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뒤로 조금 말린다. 잎 양면은 털이 난다. 꽃은 3~4월에 암수한그루에 피며, 가지 끝에 몇 개가 모여 달리는데, 가운데에 암꽃이 1개 있고, 둘레에 수꽃이 몇 개 붙는다. 꽃받침 조각은 4장이며, 꽃잎은 없다. 수꽃에는 수술이 1~4개 있다. 열매는 삭과이며, 난형, 길이 1.0cm쯤이다. 일본 원산으로서 중부 이남에 심는 기본종인 좀회양목은 잎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지 않으므로 다르다. 잎이 길이 13~21cm, 너비 4~8mm로 가는 타원형인 것은 긴잎회양목, 남해 및 서해 도서 지방에 자라며 잎 표면 잎줄에 털이 있는 것은 섬회양목이라고 한다. 정원수, 생울타리용으로 심는다. 목재는 도장을 새기는 데 쓴다. 잎과 가지는 약용한다. 회양나무, 도장나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라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근연종*▶긴잎회양목(for. elongata T.Lee): 잎이 좁은 피침형이다.
▶섬회양목(var. insularis Nakai): 잎이 길이 12-22mm, 나비 4-11mm로서 윤채가 있고 엽병에 털이 없다. 경남 거제도, 전남 흑산도에 야생한다.
▶좀회양목(B. microphylla S.et Z.): 잎 아래쪽이 설저로서 좁아지면서 거의 잎자루가 없는 것 같이 된 작은 관물으로서 뜰에 흔히 심는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댓글 52

  • 눈송이 2017.05.02 19:19:39 촬영일시 : 20170406 서울 서대문구 안산

    회양목(Buxus sinica (Rehder & E.H.Wilson) M.Cheng var. insularis (Nakai) M.Cheng) : 무심거사

    애정을 가지고 들여다 볼때 보였고 좀처럼 자연적으로 자라고 있는 나무가 보이지 않아 식재한것을 찍었다

  • Profile 晴嵐 2021.08.02 09:34:43 촬영일시 : 20210801 강원 선택 석병산

    회양목(Buxus sinica (Rehder & E.H.Wilson) M.Cheng var. insularis (Nakai) M.Cheng) : 무심거사

    회양목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569

식물이름 학명 조회
좁은잎흑삼릉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parganium hyperboreum   흑삼릉과   흑삼릉속   1,646
남흑삼릉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parganium fallax   흑삼릉과   흑삼릉속   846
가는흑삼릉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parganium subglobosum   흑삼릉과   흑삼릉속   87
두메흑삼릉 국가표준식물목록 Sparganium glomeratum   흑삼릉과   흑삼릉속   99
후추등 [3/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per kadsura   후추과   후추속   4,384
회양목 [5/5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uxus sinica var. insularis   회양목과   회양목속   8,140
좀회양목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uxus microphylla   회양목과   회양목속   1,861
수호초 [3/3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chysandra terminalis   회양목과   수호초속   4,073
섬회양목 [1/6]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uxus koreana for. insularis   회양목과   회양목속   1,889
홀아비꽃대 [6/5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loranthus japonicus   홀아비꽃대과   홀아비꽃대속   4,814
진주란 국가표준식물목록 Chloranthus spicatus   홀아비꽃대과   홀아비꽃대속   1,434
죽절초 [6/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rcandra glabra   홀아비꽃대과   죽절초속   4,559
옥녀꽃대 [5/3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loranthus fortunei   홀아비꽃대과   홀아비꽃대속   3,188
꽃대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loranthus serratus   홀아비꽃대과   홀아비꽃대속   1,787
흰협죽도 Nerium indicum for. leucanthum   협죽도과   협죽도속   3,150
흑박주가리 [5/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nanchum nipponicum var. glabrum   협죽도과   백미속   2,985
호야 [1/4] 국가표준식물목록 Hoya carnosa   협죽도과   호야속   1,899
협죽도 [3/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Nerium oleander   협죽도과   협죽도속   3,831
푸른백미꽃 Cynanchum atratum for. viridescens   협죽도과   백미속   2,053
털마삭줄 [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rachelospermum jasminoides   협죽도과   마삭줄속   3,522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