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사과나무, 말똥비름, 박태기나무, 은방울꽃, 해바라기,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피나물, 장미, 물참대, 벌노랑이, 층층나무,

눈갯쑥부쟁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눈갯쑥부쟁이(Aster hayatae H.Lév. & Vaniot) : 봄까치꽃

    봄까치꽃

  • 눈갯쑥부쟁이(Aster hayatae H.Lév. & Vaniot) : 통통배

    통통배

  • 눈갯쑥부쟁이(Aster hayatae H.Lév. & Vaniot) : 통통배

    통통배

  • 눈갯쑥부쟁이(Aster hayatae H.Lév. & Vaniot) : 통통배

    통통배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violet
  • 두상화서,
국화과(Compositae)
참취속(Aster)
국명눈갯쑥부쟁이(한반도특산식물)
학명Aster hayatae H.Lév. & Vaniot
별명눈개쑥부쟁이,큰털쑥부장이,눈개쑥부장이,눈갯쑥부쟁이
원산지한국
분포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표고 1,200-1500m 근처)에서 자란다.
전체크기높이는 15-25cm 정도이다.
형태
  • 근생엽은 주걱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흐르며 길이 2.5-5.5cm, 나비 4-8m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나 꽃이 필 때 없어지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중앙부의 잎과 윗부분의 잎은 선형이며 촘촘히 달리고 길이 12-20mm, 나비 1.5-2m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밋밋하다.
  • 꽃은 6-7월에 연보라빛 머리모양꽃차례로 핀다. 머리모양꽃차례는 지름 25mm정도이고 포는 선형으로서 총포조각과 같으며 총포는 반구형이고 길이 6-7mm, 나비 13-14mm이며 포편은 2줄로 배열되고 길이가 비슷하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뒷면에 굳센 털이 있다.
  • 수과는 편평한 거꿀달걀모양이며 길이 3mm, 나비 2mm정도로서 털이 있고 관모는 붉은빛이 돌며 우상의 적색 털이 있다.
  • 높이는 15-25cm이고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서 옆으로 자라다가 윗부분이 곧추선다.
서식지햇볕이 잘 드는 양지의 메마르고 척박한 토양. 경사면이나 바위 틈에서 자란다.
개요높은 산 개방된 사면에 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15~25cm이며, 하부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누워 자란다. 줄기잎은 길이 12~20mm, 너비 1.5~4mm인 선형으로 끝은 둔하며, 밑부분은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는 톱니가 없으며 양면에 털이 있고 잎자루가 없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피침형인 총포편은 느슨한 복와상으로 2열로 배열한다. 두상꽃차례는 가지 선단에 단생하며, 너비 25~40mm이다. 꽃은 8~10월에 핀다. 열매는 수과, 길이 2.5~3mm, 너비 1.5~2mm의 거꾸로 선 달걀형으로 표면에 털이 있다. 이 종은 통상화와 설상화의 관모가 모두 길므로 외부형태가 유사한 근연종과 구별된다. 한라산 해발 고도 1,200~1,500m 사이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개쑥부장이, 산개쑥부장이, 개쑥부쟁이라고도 부른다.
동정키다른 Aster속 식물들과는 달리 포복성이 있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한국특산식물
검색된 식물 6

식물이름 학명
왕갯쑥부쟁이 Aster magnus   국화과   참취속  
추산쑥부쟁이 Aster × chusanensis Y.S.Lim   국화과   참취속  
섬쑥부쟁이 Aster pseudoglehnii Y.S.Lim   국화과   참취속  
단양쑥부쟁이 Aster danyangensis J.Y.Kim & G.Y.Chung   국화과   참취속  
눈갯쑥부쟁이 Aster hayatae H.Lév. & Vaniot   국화과   참취속  
벌개미취 Aster koraiensis Nakai   국화과   참취속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