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사과나무, 말똥비름, 박태기나무, 은방울꽃, 해바라기,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피나물, 장미, 괭이밥, 물참대, 벌노랑이,

누른괭이눈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Light Yellowish Green
범의귀과(Saxifragaceae)
괭이눈속(Chrysosplenium)
국명누른괭이눈(한반도특산식물)
학명Chrysosplenium flaviflorum Ohwi
분포중부 이북
형태
  • 잎은 화경에서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있으며 난상 원형 또는 거의 둥글지만 화경 밑부분의 잎은 선형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불규칙하게 있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
  • 꽃은 5월에 피며 연한 황록색이고 길이 3~10cm의 화경 끝에 달리며 꽃받침조각은 4개로 거의 둥글고 위를 향하며 밝은 황색이지만 꽃이 진 다음에는 녹색으로 되고 길이 2~3mm이다. 수술은 4개이고, 꽃받침과 마주나기하며 보다 짧다.
  • 열매가 맺을 때 종자의 표면이 돌기가 없이 매끈하다.
  • 전체에 털이 많고 옆으로 뻗는 가지가 있다.
서식지깊은 산
개요산지에 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전체에 털이 많고 꽃대의 기부에서 양쪽으로 뻗는 무성지가 발달한다. 잎은 꽃대에서 홑잎으로 마주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난상 원형 또는 거의 둥글지만 꽃대 밑부분의 잎은 선형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불규칙하게 있다. 잎의 크기는 너비 3~16mm, 길이 3~20mm에 달한다. 뿌리나기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 꽃은 연한 황색으로 5월에 길이 3~10cm의 꽃대 끝에 달려 핀다. 꽃받침잎은 4개인데 길이 2~3mm이며 거의 둥글고 위를 향하며 밝은 황색이지만 꽃이 진 다음에는 녹색으로 변한다. 수술은 4개이고, 꽃받침과 대생하며 보다 짧다. 열매는 2개로 깊이 갈라지며 뿔 모양이고 암술대가 흔적으로 남아 있다. 한반도 중부 이북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북괭이눈이라고도 부른다.
근연종* 전체적인 형태는 꽃이 필 때 꽃 주위의 포엽이 밝은 노란색으로 변하는 금괭이눈(C. pilosum var. valdepilosum)과 가장 유사하다. 그러나 본 종은 금괭이눈에 비해 꽃이 더 작고, 포엽은 더 크며, 종자 표면에 혹 모양의 돌기가 거의 없고, 무성지에 달리는 잎의 맥에 흰무늬가 있는 경우가 많다. 북부지방 양강도에 분포하며 남한에는 경기도와 강원특별자치도에 분포한다.
동정키한반도 고유종, 세계적으로 분포역이 좁은 식물이며, 학술연구 재료로서 가치가 높은 생물자원이기 때문에 해외반출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한국특산식물
검색된 식물 11

식물이름 학명
흰털괭이눈 Chrysosplenium barbatum   범의귀과   괭이눈속  
한라노루오줌 Astilbe rubra var. taquetii (L.f.) H.Hara   범의귀과   노루오줌속  
울진노루오줌 Astilbe uljinensis B.U.Oh & H.J.Choi   범의귀과   노루오줌속  
연노랑괭이눈 Chrysosplenium aureobracteatum   범의귀과   괭이눈속  
범의귀 Micranthes furumii (Nakai) M.Kim   범의귀과   구실바위취속  
누른괭이눈 Chrysosplenium flaviflorum Ohwi   범의귀과   괭이눈속  
기는괭이눈 Chrysosplenium epigealum   범의귀과   괭이눈속  
구실바위취 Micranthes octopetala (Nakai) Y.I.Kim & Y.D.Kim   범의귀과   구실바위취속  
가지털괭이눈 Chrysosplenium ramosissimum   범의귀과   괭이눈속  
꼬리말발도리 Deutzia paniculata Nakai   범의귀과   말발도리속  
나도승마 Kirengeshoma koreana Nakai   범의귀과   나도승마속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