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토끼풀,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개느삼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개느삼(Sophora koreensis Nakai) : Hanultari

    Hanultari

  • 개느삼(Sophora koreensis Nakai) : 별꽃

    별꽃

  • 개느삼(Sophora koreensis Nakai) : 河志

    河志

  • 개느삼(Sophora koreensis Nakai) : 바지랑대

    바지랑대

  • 개느삼(Sophora koreensis Nakai) : 무심거사

    무심거사

  • 낙엽 활엽 관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yellow
  • 총상화서,
콩과(Fabaceae)
고삼속(Sophora)
국명개느삼(한반도특산식물)(희귀멸종위기 식물 : EN 위기종)(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2급)
학명Sophora koreensis Nakai
별명개능삼,개미풀
원산지한국
분포함경남도, 평안남도 및 강원특별자치도 북부, 고유종.
전체크기높이 1m.
형태
  • 잎은 어긋나기하며 홀수깃모양겹잎으로, 길이는 4 ~ 6cm이다. 소엽은 13 ~ 27개로 타원형이며 잎끝은 작은 오목형이고, 원저이며 길이가 8 ~ 10mm로, 뒷면에 흰색 밀모가 있으며 작은잎자루와 꽃대축에 털이 많다.
  • 총상꽃차례는 길이 3 ~ 5cm로 새가지 끝에서 나와 5 ~ 6개의 꽃이 달리고, 꽃은 길이가 15mm로 노란색으로 털이 있고, 작은포는 피침형이며 검은빛이 돌고 털이 있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뒤쪽의 2개가 약간 작고 꽃받침통에 털이 존재하며, 5월에 개화한다.
  • 협과의 길이는 7cm로 겉에 돌기가 많으며, 7월에 성숙한다.
  •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고 가지는 털이 있으며 암갈색이고, 동아는 털로 덮여 있어 보이지 않고 잎자국이 돌출하여 양쪽에 침상의 포가 있다.
  • 땅속줄기로 번식한다.
서식지햇빛이 잘 드는 양지에서 잘 자라며 토양은 배수성이 양호한 사질양토에서 군락을 형성하여 자란다. 척박지에서도 잘 자라나 적절한 시비관리는 생육 상태를 좋게 한다. 내한성과 내건성이 강하다.
개요산지, 대개 고도 100~200m의 낮은 지역의 풀밭이나 잡목림에 무성적으로 땅속줄기를 통해 번식함으로써 크고 작은 무리를 이루어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전체 크기는 1m이며, 가지는 암갈색으로 털이 있고 뿌리줄기로 번식한다. 깃꼴겹잎의 잎은 어긋나고 작은잎은 13~27개로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는 없지만 양 끝이 뭉툭하다. 잎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에는 흰색의 털이 촘촘히 있고 많은 털이 작은잎자루에도 있다. 꽃은 5월에 피는데 털이 많은 노란색의 총상꽃차례로 길이 3~5cm, 5~6개의 꽃들이 달린다. 검은빛의 작은꽃싸개잎은 가시형으로 털이 많다. 10개의 수술은 서로 떨어지며, 길이 12mm로 윗부분이 조금 꼬부라지고, 털은 없다. 열매는 7cm가량의 꼬투리 모양으로 7월에 성숙하며 표면에 돌기가 많다. 열매가 잘 열리지 않는다. 함경남도 북청, 신흥, 강원도 양구 등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관상가치가 높은 자원식물이며, 개미풀, 개너삼, 느삼나무라고도 한다.
동정키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개느삼 자생지 ⓑ면적:13,200㎡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희귀특산종)
▶우리나라 특산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맹아력이 강하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한국특산식물
검색된 식물 1

식물이름 학명
개느삼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Nakai   콩과   개느삼속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