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정향풀, 비비추, 말똥비름, 장미, 박태기나무, 은방울꽃, 사과나무, 해바라기,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양뿔사초, 물참대,

누운땅빈대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누운땅빈대(Euphorbia prostrata Aiton.) : 산들꽃

    산들꽃

  • 누운땅빈대(Euphorbia prostrata Aiton.) : 산들꽃

    산들꽃

  • 누운땅빈대(Euphorbia prostrata Aiton.) : 산들꽃

    산들꽃

대극과(Euphorbiaceae)
대극속(Euphorbia)
국명누운땅빈대(외래식물)
학명Euphorbia prostrata Aiton.
원산지열대아프리카 원산
분포충남 태안군 신지도
전체크기6-20cm
형태
  • 잎은 마주나기이며 타원형이고 길이 4-8mm, 폭 2.5-5.5mm로 표면은 푸른빛이 도는 녹색이고 뒷면은 백록색이다. 잎 가장자리는 낮은 거치가 있다.
  • 꽃은 9-10월에 피고 배상화서는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화서의 선체는 4개, 부속체는 불분명하다.
  • 열매는 광난형으로 길이 1.2mm, 지름 1.3mm이고 위에서 보면 정삼각형이고 능선부분에만 긴 털이 모여난다. 암술머리는 3개이며 각각 기부로부터 2열된다. 씨는 4개의 모서리가 있고 표면에는 깊은 주름이 있다.
  • 줄기는 땅 위를 덮으며 사방으로 짧은 가지를 치고 백색 털이 있다.
개요열대 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국내에는 태안군 일대에 자란다. 유럽과 아시아에 귀화하였다. 줄기는 땅 위를 기며, 사방으로 가지가 갈라지고, 붉은색 또는 녹색을 띠며, 흰색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앞면은 녹색이고 간혹 붉은색을 띠며, 뒷면은 백록색이다. 꽃은 9~10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배상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삭과, 세모지며 능선을 따라 길고 흰 털이 난다.
근연종*애기땅빈대와 달리 잎이 타원형이고 열매의 능선부에만 긴 털이 있다.
참고문헌한국의 귀화식물 : 박수현저 : 일조각 : 2009

외래식물
검색된 식물 7

식물이름 학명
톱니대극 Euphorbia dentata Michx.   대극과   대극속  
털땅빈대 Euphorbia hirta Linnaeus   대극과   대극속  
아메리카대극 Euphorbia heterophylla Linnaeus   대극과   대극속  
뿌리땅빈대 Euphorbia makinoi   대극과   대극속  
누운땅빈대 Euphorbia prostrata Aiton.   대극과   대극속  
애기땅빈대 Euphorbia supina Raf.   대극과   대극속  
큰땅빈대 Euphorbia maculata L.   대극과   대극속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