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토끼풀,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좀다닥냉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2년생 초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 총상화서,
배추과(Brassicaceae)
다닥냉이속(Lepidium)
국명좀다닥냉이(외래식물)
학명Lepidium ruderale L.
원산지유럽
분포충무의 바닷가 길 옆에서 자라고 있다.
전체크기높이 30㎝
형태
  • 근생엽(根生葉)은 2회 깃모양겹잎이고 줄기잎은 1회 깃모양겹잎, 갈래는 선형,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1-2개의 톱니가 있다.
  • 5-6월경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가 달리며 백색이다. 꽃받침조각은 선형이며 꽃잎은 없고 수술은 2개이다.
  • 열매는 단각, 넓은 타원형 또는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2-3㎜로서 겉에 그물 무늬가 있다.
  •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옆으로 퍼진다.
개요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건조한 풀밭이나 모래땅에서 자라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20~50cm,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전체에 매우 작은 털이 있다. 뿌리잎은 긴 타원형으로 2회 깃꼴로 갈라진다. 줄기잎은 뿌리잎보다 작고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녹색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으로 길이 0.5~1.0mm이다. 꽃잎은 거의 발달하지 않는다. 수술은 2개, 암술은 1개다. 열매는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1.5~2.5mm, 끝에 좁은 날개가 있다. 씨는 갈색이며 타원형으로 길이 1.0~1.5mm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98년 인천 월미도에서 처음으로 채집, 기록되었다. 유럽에도 귀화하여 분포하며, 유럽에 분포한다. 이 종은 열매 크기가 다닥냉이보다 작은 특징에 의해 좀다닥냉이로 국명이 신칭되었다. 어린순을 식용하며, 종자를 약용한다. 미륵냉이라고도 한다.
근연종* ▶콩말냉이(L. virginicum): 근생엽은 톱니가 있고, 줄기잎도 톱니가 있다. 열매의 길이는 2.5-3㎜이다.
동정키▶충무 앞 미륵산록에서 처음 발견했기 때문에 미륵냉이라고 한다.
참고문헌1)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XII) (박수현, 1998)

외래식물
검색된 식물 10

식물이름 학명
큰다닥냉이 Lepidium sativum L.   배추과   다닥냉이속  
길다닥냉이 Lepidium densiflorum   배추과   다닥냉이속  
털다닥냉이 Lepidium pinnatifidum Ledeb.   십자화과   다닥냉이속  
큰키다닥냉이 Lepidium latifolium L.   십자화과   다닥냉이속  
좀다닥냉이 Lepidium ruderale L.   십자화과   다닥냉이속  
국화잎다닥냉이 Lepidium bonariense L.   십자화과   다닥냉이속  
들다닥냉이 Lepidium campestre R.Br.   십자화과   다닥냉이속  
콩다닥냉이 Lepidium virginicum L.   십자화과   다닥냉이속  
다닥냉이 Lepidium apetalum Willd.   십자화과   다닥냉이속  
대부도냉이 Lepidium perfoliatum L.   십자화과   다닥냉이속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