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토끼풀,

개사탕수수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개사탕수수(Saccharum spontaneum L.) : 무심거사

    무심거사

  • 개사탕수수(Saccharum spontaneum L.) : habal

    habal

  • 개사탕수수(Saccharum spontaneum L.) : habal

    habal

  • 개사탕수수(Saccharum spontaneum L.) : habal

    habal

  • 다년생
벼과(Poaceae)
개사탕수수속(Saccharum)
국명개사탕수수(외래식물)
학명Saccharum spontaneum L.
원산지일본, 구대륙, 난대, 온대
분포한국(제주 남쪽)
전체크기높이는 100cm 정도이다.
형태
  • 엽신은 길이 30~70cm, 너비 3~6mm, 중앙맥은 폭이 넓고 백색이다. 30~70cm 3~6mm 엽초는 밋밋하며 구부와 가장자리는 긴 털이 난다. 엽설은 길이 2~3mm이다. 2~3mm
  • 원추화서는 긴 중축에 많은 총(raceme)이 우상으로 나와 길이 20~40cm이다. 총은 직립하며 다수의 관절이 있고 관절은 길이 4~6mm, 유병소수와 무병소수가 짝을 지어 붙는다. 소수는 길이 4~5mm, 기부에는 길이가 소수의 2~3배 되는 많은 긴 털이 윤생한다. 2개의 포영은 크기와 모양이 같고 길이 4~5mm, 제1포영은 2맥, 2개의 용골, 제2포영은 1맥이다. 제1소화는 무성이며 제2소화는 양성이다.
  • 영과
  • 줄기는 직립하며 높이 1m내외이다. 1m
서식지제주특별자치도 남쪽 해안 경사지에 자란다.
개요바닷가 모래땅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집의 입구와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다. 잎몸은 길이 30~70cm이고, 너비 3~6mm이다. 잎혀는 2~3mm이다. 꽃은 8~9월에 핀다. 전체 꽃차례는 20~40cm이고 위를 향한 수많은 가지가 달린다. 각 마디에는 자루가 있는 작은이삭과 없는 것이 쌍으로 달린다. 작은이삭은 길이 4~5mm이고 아래에는 작은이삭보다 훨씬 긴 털이 돌려난다. 두 포영은 길이가 같고, 제1포영은 맥이 두 개이며, 제2포영은 맥이 하나이다. 첫 번째 꽃은 불염성이고 두 번째 꽃은 양성화이다. 우리나라 남부지방 제주도에 나며, 일본, 인도, 동아시아,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큰개사탕수수에 비해 전체적으로 소형이며, 줄기가 가늘고 제1포영에 털이 없으며 작은이삭 아래의 털이 소수보다 두세 배 긴 것이 다르다.
동정키큰개사탕수수(S. arundinaceum)에 비해 줄기가 가늘고 제1포영의 등 부분에 털이 없으며, 소수 기반의 털은 소수 보다 2~3배 더 길다.
참고문헌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외래식물
검색된 식물 2

식물이름 학명
큰개사탕수수 Saccharum arundinaceum Retz.   벼과   개사탕수수속  
개사탕수수 Saccharum spontaneum L.   벼과   개사탕수수속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