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토끼풀,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식물검색표
2021.04.06 00:37

한국산 양지꽃족의 검색표

조회 수 423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https://www.e-kjpt.org/journal/view.php?number=4908

1. 잎 표피 상납질이 발달하거나 미약하게 발달한다. 수술은 한 개의 화분낭이 존재하며, 화주는 기저생, 아기저생 또는 측생이다. (subtribe Fragariinae)

2. 관목이다. 자방에 털이 밀생한다 ································································ 물싸리 (Dasiphora fruticosa)

2. 초본 또는 아관목이다. 자방에 털이 없거나 산재한다.

3. 줄기는 복와형이며, 포복경이 발달한다. 화주는 측생한다. 화탁이 육질화된다.

4. 꽃은 직경 2 cm 이상이고, 위과는 직경 1.5 cm 이상이다 ··················· 딸기 (Fragaria × ananassa)

4. 꽃은 직경 2 cm 이하이고, 위과는 직경 1.5 cm 이하이다.

5. 식물의 높이는 10 cm 이하이며, 소엽의 길이가 짧다(1.7 cm 이하) ·········· 흰땃딸기(Fragaria nipponica subsp. chejuensis)

5. 식물의 높이는 10 cm 이상이며, 소엽의 길이가 길다(1.7 cm 이상) ·········································· 땃딸기 (Fragaria mandshurica)

3. 줄기는 직립형이며, 포복경이 발달하지 않는다. 화주는 아기저생 또는 기저생한다. 화탁은 육질화되지 않는다.

6. 꽃잎은 노란색이다. 화주의 모양은 곤봉형이다 ··· 물싸리풀 (Sibbaldianthe semiglabra)

6. 꽃잎은 보라색이다. 화주의 모양은 사상형이다 ·················· 검은낭아초 (Comarum palustre)

1. 잎 표피 상납질이 없거나 또는 드물게 발달한다. 수술은 두 개의 화분낭을 갖으며, 화주는 아정생한다(눈양지꽃 제외). (subtribe Potentillinae)

7. 근생엽의 탁엽은 엽병의 앞면에 부착한다. 화주는 측생 또는 아정생하고, 화주의 모양은 원통형이다 ··························· 눈양지꽃 (Argentina egedii)

7. 근생엽의 탁엽은 엽병의 측면에 부착한다. 화주는 아정생하고, 화주의 모양은 원뿔형, 곤봉형 또는 사상형이다.

8. 포복경에서 꽃이 하나씩 나오는 단정화서이다. 화탁은 육질이며 매우 부푼다.

9. 잎은 녹색–진녹색이고, 다소 두껍고, 능형–장타원형이며, 예두이다 ······························································· 뱀딸기 (Duchesnea indica)

9. 잎은 연한 녹색 또는 황녹색이며, 얇고, 넓은 난형 또는 도란형이고, 둔두이다 ································ 산뱀딸기 (Duchesnea chrysantha)

8. 대부분 취산화이며, 드물게 줄기의 엽액에서 단정화서가 발달한다. 화탁은 육질이 아니다.

10. 잎 양면에 표피 상납질 결정체가 발달한다. 화주는 사상형이다. 수과는 전체면이 유모이다.

11. 전국 산지 돌 틈에 서식한다. 주로 우상복엽이다. 잎 양면과 엽병에 털이 많거나 산재한다 ······························· 돌양지꽃 (Potentilla dickinsii var. dickinsii)

11. 울릉도에 제한 분포한다. 삼출엽을 갖는다. 잎 양면과 엽병에 털이 없으며, 드물게 산재한다 ···························· 섬양지꽃 (P otentilla dickinsii var. glabrata)

10. 대부분은 잎에 표피 상납질 결정체가 발달하지 않는다(예외: 좀딸기). 화주는 원뿔형 또는 곤봉형이며, 드물게 사상형이다. 수과는 무모이거나 제 주위에만 털이 있다.

12. 화주의 모양은 원뿔형이다.

13. 근생엽은 숙존한다. 소엽 뒷면에는 융모가 나타난다.

14. 바닷가 또는 저지대 양지에 분포한다. 근경이 발달하지 않는다. 잎은 타원형이다.

15. 뿌리는 주근 1개가 매우 발달한다 ·················· 딱지꽃 (Potentilla chinensis)

15. 1–4개의 다소 비후한 방추형의 괴근이 발달한다 ······················································· 솜양지꽃 (Potentilla discolor)

14.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근경이 발달한다. 잎은 난상원형 혹은 도란상원형이다 ····························· 은양지꽃 (Potentilla nivea)

13. 근생엽은 조락한다. 소엽 뒷면에는 짧거나 긴 미세강모를 가진다.

16. 근생엽은 장상복엽으로 대부분 5개의 소엽을 갖는다 ······················································· 가락지나물 (Potentilla anemonifolia)

16. 근생엽은 삼출엽 또는 우상복엽이다.

17. 소엽에는 복예거치와 예거치가 함께 나타난다. 취산화서가 발달한다 ·········· 물양지꽃 (Potentilla cryptotaeniae)

17. 소엽은 예거치를 갖는다. 줄기 엽액에서 1개의 꽃이 단생한다.

18. 포복경이 발달한다. 뿌리는 섬유형이다. 과피에 돌기가 발달한다 ······· 좀딸기 (Potentilla centigrana)

18. 포복경이 발달하지 않는다. 뿌리는 주근형이다. 과피에 돌기가 없다.

19. 근생엽은 삼출엽이며, 정소엽이 3개로 심열하여 장상엽처럼 보인다 ································· 좀개소시랑개비(Potentilla amurensis)

19. 근생엽은 우상복엽이다 ·········· 개소시랑개비 (Potentilla supina subsp. paradoxa)

12. 화주의 모양은 사상형 또는 곤봉형이다.

20. 근생엽은 우상복엽이다.

21. 포복경이 발달하지 않는다 ······························· 양지꽃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21. 포복경이 매우 발달한다 ······ 제주양지꽃(Potentilla stolonifera var. quelpaertensis)

20. 근생엽은 삼출엽이다.

22. 소엽은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다.

23. 포복경이 발달하지 않는다. 엽병은 무모이거나 털이 산재하며, 잎 뒷면은 다소 짧은 미세강모가 드물거나 산재한다 ····································· 세잎양지꽃 (Potentilla freyniana)

23. 포복경이 발달한다. 엽병에는 퍼진 털이 밀생하며, 잎 뒷면에는 미세강모가 많거나 산재한다 ···················· 털양지꽃 (Potentilla squamosa)

22. 소엽은 능형 또는 능상 난형이다 ························ 민눈양지꽃 (Potentilla yokusaiana)

  • profile
    무심거사 2021.04.06 08:12
    종의 분류는 진행형이니 확정이란 없는거겠죠
    11번과 21번의 국명은 둘다 양지꽃이네요
    (학명은 다르지만) 무슨뜻인지 잘몰겠고

    2014년에 신종발표된 가거양지꽃은 거론되지 않았네요
    이논문은 2019년산 같은데ᆢ
    작년에 현장에서 봤는데 완전 털복숭이에 확연히 달라보이던데
  • profile
    카르마 2021.04.06 08:22

    11번 학명이 섬양지꽃이네요.
    논문자체에 탈자가 있었던가 봅니다...ㅎㅎㅎㅎ

    저는 수정했습니다만....

    낙장불입이라 이미 출판된 논문은  수정불가....

  • profile
    카르마 2021.04.06 08:35

    Key  to  Potentilla  gageodoensisand  its  relatedtaxa.

    DOI: https://doi.org/10.11110/kjpt.2014.44.3.175
    1. 삼출복엽

    2. 포복지가 없다. ·································  P. nivea 은양지꽃

    2. 포복지가 있다.  ····················  P. freyniana 세잎양지꽃

    1. 우상복엽

    3. 소엽은 천열(Leaflets lobed) ································ P. chinensis딱지꽃

    3. 소엽은 예거치(Leaflets serrulate)

    4. 포복지가 있다. ·················· P. stolonifera 제주양지꽃

    4. 포복지가 없다. 

    5. 소엽 뒷면에 털이 거의 없다.  ············································  P. supina개소시랑개비

    5. 소엽 뒷면에 부드러운 털이 있거나 흰가루

    6. 잎뒷면에 흰가루 ················································ P. dickinsii 돌양지꽃

    6. 잎뒷면에 부드러운 털

    7.  소엽은  7-13,  leaflet  margin  ciliate,  leaf  texturesthin,  terminal  leaflets  elliptic,  petal  length  0.5-0.7 cm  ·································  P. fragarioides양지꽃

    7. 소엽이 5, leaflet margin densely white ciliate, leaftextures thick, terminal leaflets broadly ovate, petallength 0.8-1.1 cm ·· P. gageodoensis 가거양지꽃

  • profile
    무심거사 2021.04.06 13:47

    각기 다른논문이군요.. 학자에 따라 검색표도 다르고... 이 모든걸 다봐야하는건 아마츄어 몫이고  ㅎㅎ

    최근들어 특히 국가표준식물목록과 국립생물자원관의 국명이 달라 혼선을 빚는데 우리 풀베개는 어딜 기준으로 삼나요?

    예를들자면

    국표준에 금강애기나리는 자원관에 금강죽대아재비가 국명이고

    국표준에 왕죽대아재비는 자원관에선 죽대아재비로 통합해버렸고... 이외에도 부지기수로 많습니다

     

  • profile
    카르마 2021.04.07 00:16
    본문은 이ST, 댓글은 김MY... 그렇습니다.

    풀베개는 원칙적으로 국표준을 따릅니다.
    다만 요즘 워낙 큰 변화가 없어서 그때그때 분류학회지 논문을 근거로 수정, 입력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대부분의 국내논문들이 국명을 금강애기나리로 사용하고 있는데 국립생물자원관은 환경부 산하인데 무슨 근거로 국명을 바꾸는지 궁금하네요.
  • profile
    카르마 2021.04.07 00:22
    자원관은 그동안 변경된 사항들이 대부분 적용되고 있네요.
    2020년 논문까지 다 반영이 되어있네요.
    혼자서 논문 하나하나 뒤져가면서 몇시간 걸렸는데...

    유명무실한 국표준을 버리는 것도 함 검토해봐야할 때 같습니다.
    자료를 다운 받아서 비교를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 profile
    무심거사 2021.04.07 08:24

    저도 자원관이 변화에 민감하단 느낌은 받았어요

    숙제를 드린것 같아 죄송합니다


풀낭구공부방

원칙적으로 펌이나 스크랩을 금지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원본의 출처 및 url을 분명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1. No Image

    도깨비바늘속 검색표

    23. 도깨비바늘속 Bidens 1. 잎은 단엽, 갈라지지 않는다 -------------------------------------- 1. 좁은잎가막사리 1. 잎이 심하게 갈라지거나 복엽이다. 2. 잎은 3-5개 소엽으로 된 우상복엽, 엽병에 날개가 없다 ----------------- 2. 미국가막사리 2. 잎...
    Date2009.10.13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624
    Read More
  2. 까치깨속 식물 검색표

    이상태검색집 1. 줄기에 수평으로 퍼진 긴 털과 꼬부러진 잔털이 있다. 삭과는 2cm정도이다 ------ 1. 까치깨 1. 줄기에 성모가 있다. 삭과는 3-4cm이다 --------------------------------- 2. 수까치깨 영문 검색표 1. Stem densely stellate pubescent; caps...
    Date2009.09.29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539
    Read More
  3. 털이슬속 식물의 동정

    털이슬속 식물을 동정하는데 털이슬과 쇠털이슬의 외형이 워낙 비슷해서 구분이 쉽지않은 듯합니다. 한동안은 줄기마디의 색상으로 구분을 했었는데 이번에 우연한 기회에 같은 장소에서 두종을 동시에 만났습니다. 소화경의 길이와 줄기의 털등에서 확실한 차...
    Date2010.08.05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516
    Read More
  4. No Image

    장미속 식물의 구분

    1. 줄기가 누워있거나 땅에 바짝 엎드린다. 2. 줄기가 누워 있다, 모상체분비샘이 있다. 산방화서; 화주에 털이 없다(Styles glabrous)...............................1. 용가시나무 (Rosa maximowicziana) 2. 줄기가 땅에 바짝 붙어있으며, 분비선이 없다. ...
    Date2021.04.06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550
    Read More
  5. No Image

    한국산 양지꽃족의 검색표

    https://www.e-kjpt.org/journal/view.php?number=4908 1. 잎 표피 상납질이 발달하거나 미약하게 발달한다. 수술은 한 개의 화분낭이 존재하며, 화주는 기저생, 아기저생 또는 측생이다. (subtribe Fragariinae) 2. 관목이다. 자방에 털이 밀생한다 ·········...
    Date2021.04.06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423
    Read More
  6. No Image

    한국산 개별꽃속의 검색표

    https://www.e-kjpt.org/journal/view.php?number=4918 가는잎개별꽃 (Pseudostellaria sylvatica (Maxim.) Pax ex Pax & Hoffm.) 개별꽃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Miq.) Pax ex Pax & Hoffm.) 긴개별꽃 (Pseudostellaria japonica Pax) 덩굴개별꽃 (Ps...
    Date2021.04.06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542
    Read More
  7. 신종현호색들 : 남도현호색,각시현호색,수염현호색,쇠뿔현호색,날개현호색

    기존 현호색의 검색표 : http://wildgreen.co.kr/class/725310 참조 앞서 잠깐 언급했었지만 현호색이 어려운 이유가 기존의 종에 대한 기준도 여러번 바뀌었을 뿐 아니라 신종들이 많이 발표되었습니다. 1996년 흰현호색(Corydalis albipetala) 2004년 남도현...
    Date2013.04.22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753
    Read More
  8. 싸리속 식물의 동정

    싸리속 식물도 그동안 엄두를 내지 못했던 것중 하나입니다. 이상태검색집에는 22종을 비교하고 있고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무려 39종이 올라있습니다. 그러니 어지간하면 못본채하고 지나가기 마련입니다. 영문자료를 뒤지다보니 많이 정리가 되었네요. 총 13...
    Date2010.08.10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957
    Read More
  9. 메꽃속 식물과 종간교잡

    요즘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여기저기 야생나팔꽃인 메꽃이 자주 눈에 띕니다. 한동안 열심히 메꽃을 찾아 다녔습니다. 갯메꽃과 선메꽃은 육안으로 쉽게 구분이 가능하고 애기메꽃은 잎에 삼각형이면서 날개처럼 튀어나온 부분에 결각이 하나 더 있어...
    Date2009.07.16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745
    Read More
  10. 으아리속 - 종덩굴과 세잎종덩굴

    1. 으아리속 Clematis 1. 꽃받침은 곧추서고, 끝이 밖으로 굽는다. 꽃은 통상 또는 종상이고, 꽃잎은 있거나 없다. 2. 꽃은 1개가 정생하고, 꽃잎은 긴 도피침형. 3. 키는 1m이상. 花被片은 타원상 난형-장난형 -------------------------- 1. 자주종덩굴 3. ...
    Date2010.07.16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852
    Read More
  11. 명자나무,산당화,풀명자 검색

    도로변 녹지대 수목 녹지관리원입니다. 명자나무라고 하는 수목을 2년전 식목했었는데 검색해보니 다양합니다. 산당화라는것, 풀명자라는것,명자나무라는것 홍 뭐러는 종도있는것 같습니다. 구분이 어려워 이 난에 상세 조언믈 부탁드립니다.
    Date2017.07.02 Category식물검색표 By잘몰라요 Views922
    Read More
  12. 가일라르디아(Gaillardia)

    가일라르디아(Gaillardia) ♣위키백과 검색어 가일라르디아(Gaillardia)는 Asterales목 Asteraceae과 Gaillardia속으로 분류하고 이명을 Gaillardia aristata Pursh라 하고, 가일라르디아(Gaillardia)속에 13종을 열거하고 그중 가일라르디아 아리스타타(Gailla...
    Date2010.09.17 Category식물검색표 By늘봄 Views597
    Read More
  13. 수수꽃다리속의 이해...

    수수꽃다리속 식물들은 너무 비슷해서 개회나무나 꽃개회나무처럼 특징이 뚜렷한 종을 제외하고 수수꽃다리, 라일락(서양수수꽃다리), 털개회나무, 정향나무 등은 참 구분하기 쉽지않습니다. 풀베개 도감에 등록된 사진을 확인해봐도 너무 많이 뒤섞여 있습니...
    Date2012.05.03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743
    Read More
  14. 섬자리공을 찾아라...

    릉도 특산식물중에 섬자리공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해서 울릉도에 자생하는 자리공종류는 당연히 섬자리공일것이라고 생각해왔습니다. 하지만 육지의 자리공과 큰 차이점을 찾지 못해서 이리저리 자료를 뒤져봤지만 확실한 답을 얻지는 못했습니다. 자리공과 ...
    Date2012.07.06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516
    Read More
  15. No Image

    족도리풀속 식물의 재분류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오리무중속의 족도리풀에 관한 최근 논문을 뒤져봤습니다. 한국산 족도리풀속(Asarum, 쥐방울덩굴과)의 분류학전 연구; 소순구 ( Soon Ku So ) , 김무열 ( Mu Yeol Kim ); 식물분류학회지 | 2008 검색표 : 생략... 족도리풀 Asarum siebol...
    Date2013.04.29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525
    Read More
  16. No Image

    대극속 식물의 재검토

    대극속 23종 개감수 (Euphorbia sieboldiana Morren & Decne.) 낭독 (Euphorbia pallasii Turcz.) 단주대극 (Euphorbia hylonoma Hand.-Mazz.) 대극 (Euphorbia pekinensis Rupr.) 두메대극 (Euphorbia fauriei H.Lev. & Vaniot ex H.Lev.) 등대풀 (Euphorbia ...
    Date2010.07.05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630
    Read More
  17. No Image

    쑥속 식물의 동정키

    쑥종류도 참 많기도 하고 흔하기도 합니다. 사초과 벼과처럼 아예 외면하고 다녔습니다만... 계속 그럴수는 없는 노릇이고... 모님의 요청이 있어서 자료를 정리해볼 욕심으로 덤벼봤습니다. 아직은 암담합니다만 시작이 반이라고 일단 검색표부터 정리해봤습...
    Date2009.10.20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1065
    Read More
  18. 기재문을 다시 써야하는 이질풀과 쥐손이풀

    그동안 이질풀과 쥐손이풀때문에 많은 논란이 있었습니다. 줄기의 털이 하향이면 쥐손이풀 측향이면 이질풀로 동정을 하면서 애로사항도 참 많았습니다. 가뜩이나 구분하기 쉽지않은 쥐손이풀속이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무려 25종 올라있습니다. 쥐손이풀속 25...
    Date2010.07.27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830
    Read More
  19. No Image

    고광나무속의 세부적인 구분

    그동안 꽃만보고 그냥 고광나무로만 분류를 했었는데 자료를 자세히 보니 고광나무도 상당히 세분화되는군요. 특히 고광나무로 올라있는 자료들에서 털고광나무도 상당수 보이는 것같습니다. 12. 고광나무속 Philadelphus 1. 花柱에 有毛. 2. 꽃잎은 5장. 잎 ...
    Date2009.06.10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530
    Read More
  20. 모시풀속 ver 2

    풀속은 전에 잠깐 부분적으로 다루기는 했지만 부족한 점이 많은 듯합니다. 여전히 어려운 것이 좀깨잎나무, 거북꼬리, 풀거북꼬리, 왕모시풀, 좀모시풀 등등등... 다시한번 전체적으로 정리를 해봤습니다. 10. 모시풀속 Boehmeria 1. 잎은 互生. 2. 가지와 葉...
    Date2010.07.01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743
    Read More
계속 검색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