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융단사초, 토끼풀,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종덩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벼루

    벼루

  •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통통배

    통통배

  •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풀배낭

    풀배낭

  •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풀배낭

    풀배낭

  •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박용석nerd

    박용석nerd

  •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박용석nerd

    박용석nerd

  •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박용석nerd

    박용석nerd

  •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박용석nerd

    박용석nerd

  •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산들꽃

  •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산들꽃

  •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산들꽃

  •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산들꽃

  • 넌출성 식물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violet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23속 (피자식물문/목련강/미나리아재비목)
으아리속(Clematis) 25종
국명종덩굴
학명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원산지한국
분포중부 이북에 나며 만주,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전체크기길이 3m정도
형태
  • 잎은 마주나기하고 5~7개의 소엽으로된 우상복엽이며 정엽이 덩굴손으로 변하는 것도 있다. 소엽은 달걀모양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3~6cm이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잔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나 2~3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다.
  • 꽃은 여름에 암자색으로 피고 종형으로 밑으로 처지며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고 꽃대에 2개의 포가 있다. 화피편은 4개로 두껍고 끝이 뒤로 젖혀지며 외면에 털이 없다.
  • 과실은 수과로 편평한 타원형이며 암술대에는 갈색의 털이 우상으로 난다.
  • 일년생가지에 털이 약간 있다.
  • 국수발 같은 뿌리가 나 있다.
서식지숲속의 음습지
개요숲속에 자라는 낙엽 덩굴나무이다. 줄기는 길이 2~3m, 다른 물체를 타고 올라간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잎 5~7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난형, 길이 3~6cm, 폭 2~3cm,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2~3갈래로 갈라진다. 끝의 갈래잎은 덩굴손으로 변하기도 한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밑을 향해 달리며, 종 모양,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 길이 2~4cm이다. 꽃자루에 잎처럼 생긴 꽃싸개잎이 2장 있고, 털이 거의 없다. 꽃받침은 4장, 꽃잎처럼 보이며, 두껍고 끝이 뒤로 젖혀지고, 겉에 털이 거의 없다. 꽃잎은 없다. 열매는 수과, 넓은 난형, 8~10월에 익는데 깃털 모양의 긴 암술대가 남아 있다.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 나며, 러시아, 일본,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중부 이북에 자라는 검종덩굴에 비해 꽃받침 겉과 꽃자루에 털이 거의 없으며, 요강나물과는 달리 완전한 덩굴식물이므로 구분된다. 수염종덩굴이라고도 부른다.
근연종*▶검종덩굴(C. fusca Turez.)
▶요강나물(C. fusca var. coreana Nakai)
▶누른종덩굴(C. chiisanensis Nakai)
▶세잎종덩굴(C. koreana Kom.)
▶자주종덩굴(C. ochotensis Poir)
▶함북종덩굴(C. sabtriterna Nakai)
참고문헌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댓글 24

  • 벼루 2006.02.21 20:48:33 촬영일시 : 2003 강원도 정선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 풀배낭 2008.03.28 17:37:23 촬영일시 : 2007-07-10 충남 아산시 만경산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 풀배낭 2008.03.28 17:47:12 촬영일시 : 2007-07-10 충남 아산시 만경산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 여울목 2008.07.09 18:58:10 촬영일시 : 2008.7.7 대전 유성구 수통골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 통통배 2008.08.07 17:00:14 촬영일시 : 2008.7 경기 의정부시 화단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 통통배 2008.08.19 11:27:19 촬영일시 : 2008.8 경기 양평군 .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 Profile 설뫼 2009.06.25 20:08:57 촬영일시 : 2009.6.14.11:44 서울 동대문구 홍릉수목원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 현촌 2009.07.02 21:13:57 촬영일시 : 2009.06.27. 서울 동대문구 홍릉수목원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 꽃사랑 2009.07.02 22:55:38

    저도 오후에 다녀왔는데요

  • 현촌 2009.07.02 21:15:00 촬영일시 : 2009.06.27. 서울 동대문구 홍릉수목원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안방

  • 산소리 2006.01.13 04:25:36 촬영일시 : 2005.08. 지리산 제석봉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 10-07-16 16:55:06:자주종덩굴에서 변경(카르마)

  • 고들빼기 2010.07.28 00:43:35 촬영일시 : 20100718 충북 청원군 낭성면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 Profile 무심거사 2010.08.03 21:32:58 촬영일시 : 20080703 강원 인제군 점봉산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 10-08-23 20:02:49:자주종덩굴에서 변경(무심거사)

  • Profile 카르마 글쓴이 2010.08.23 11:48:27 촬영일시 :

    자주종덩굴의 꽃도 세잎종덩굴처럼 화판의 흔적이 있는 독특한 형태입니다.

    사진은 그냥 종덩굴로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http://www.wildgreen.co.kr/343569 참조

  • Profile 바지랑대 2010.08.11 09:37:07 촬영일시 : 20100810 강원 영월군 물굽이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 Profile 추풍 2011.07.24 10:47:42 촬영일시 : 20110719 강원 춘천시 남산면 굴봉산입구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 Profile 도리뫼 2012.07.03 14:28:05 촬영일시 : 20120701 경기 남양주시 조안면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 Profile 설뫼* 2013.07.19 08:52:57 촬영일시 : 20130621 경기 포천시 국립수목원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 산들꽃 2015.06.14 11:26:24 촬영일시 : 20150614 경북 경주시 학동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 Profile 설뫼* 2015.07.05 07:44:59 촬영일시 : 20150704 경기 광주시 무갑산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꽃봉오리.열매

  • 박용석nerd 2015.09.29 09:40:13 촬영일시 : 20070711 강원 영월군 엄홍도관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 곰배령 2016.06.30 19:49:21 촬영일시 : 20160629 경기 광주시 관산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 Profile 추풍 2020.07.19 11:08:46 촬영일시 : 20200716 경북 문경시 조령산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

  • 산들꽃 2023.06.12 14:35:38 촬영일시 : 20230610 경북 경주시 학동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 산들꽃

    종덩굴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28

식물이름 학명 조회
자주조희풀 [3/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tubulos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4,330
종덩굴 [12/2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fusca var. violace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3,116
흰조희풀 Clematis heracleifolia for. albiflor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1,968
할미밀망 [7/4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trichotom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5,536
두류산종덩굴 국가표준식물목록 Clematis turyusanensis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53
검종덩굴 [4/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fusc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3,733
덩굴조희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pseudotubulos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62
개버무리 [5/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serratifoli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4,115
참으아리 [3/3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terniflor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4,504
으아리 [4/5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mandshuric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5,724
병조희풀 [4/5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urticifoli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4,452
대구으아리 [2/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taeguensis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3,567
요강나물 [2/3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fusca var. flabellat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4,438
큰꽃으아리 [4/5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patens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5,056
자주사위질빵 [0/1]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takedan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164
세잎종덩굴 [3/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korean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3,920
털종덩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pseudokorean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147
외대으아리 [4/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brachyur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4,043
위령선 [6/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florid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3,770
사위질빵 [6/6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apiifoli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3,918

  • 1
  • 2

Guest

로그인